미래는 어떤 인재를 요구할까. 답은 창의성(Creativity)이다. 암기·주입식 교육으로 선진국을 추격하던 20세기는 오래전에 막을 내렸다. '창의적 인재 없이는 국가 경쟁력도 없다'는 명제는 교육계는 물론 한국사회 전반이 입을 모아 외치는 화두가 됐다. 행복플러스는 영재교육 전문기관 ㈜CMS에듀케이션과 함께 어린이·청소년들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쉽고 요긴한 방법들을 시리즈로 싣는다.
연재순서
① 창의력이 경쟁력이다
② 관찰력·통찰력 키워주는 법
③ 논리적 문제해결법
④ 창의적 문제해결법
⑤ 계획 세우기와 추진
⑥ 복합적 문제해결법
- ▲ 일러스트= 배진성 jmulgogi@gmaul.com
모기업의 면접시험장. 바짝 긴장한 입사 지망생들의 머릿속엔 다양한 예상 질문이 오간다. 특색 있는 자기소개, 입사 후 포부, 가장 자신 있는 분야… 하지만 면접관의 입에선 전혀 예상 못한 질문이 쏟아진다. "두살 먹은 조카한테 지구가 둥글다는 걸 설명해야 해요. 어떻게 하겠어요?" "삼성역 사거리부터 강남역 사거리까지 테헤란로 앞뒤를 막았다고 칩시다. 그 안에 차가 몇 대나 있겠어요?" 예상 못한 것은 둘째치고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안 나온다면? 남은 것은 뻔하다. 낙방의 고배.
기업이 인재채용에 있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중요시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은 1997년 직접 쓴 에세이를 통해 "기업에는 수학공식을 잘 외우는 사람보다 창의적 사고를 하는 인재가 필요한데 정작 현실의 교육은 영어단어와 수학공식을 잘 외우는 사람을 키우는 데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슷비슷한 학점과 영어 공인점수가 변별력을 갖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업현장이 원하는 인재상의 초점은 위기대처 능력과 문제해결력으로 모아지는 것이 당연지사다.
황선길 잡코리아 컨설팅사업본부 본부장은 "기업들이 점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를 선별하기 위한 독자적인 툴을 만들어 채용과 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추세"라며 "반면 취업을 준비하는 젊은이들은 여전히 영어 공인성적과 입사지원서를 채우기 위한 소위 '스펙'에 매달려야 하는 현실이라 창의력을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했다.
경영 컨설팅 전문 업체 딜로이트 컨설팅의 박해룡 상무도 "창의적 인재 채용을 위한 면접항목 개발과 면접관 교육 등과 관련한 컨설팅 요청이 늘고 있다"며 "인·적성 검사나 시뮬레이션, 팀 과제 해결 등을 통해 창의성을 파악하는 것이 채용과정의 주요 목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입시험의 논·구술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한 방안이다. 논리적 전개와 다양한 과목간의 유기적 통합 능력이 요구된다. 기존의 정답을 내놓는 시험방식과는 달리 풀이 과정의 중요성이 크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010학년도 입시부터 각종 경시대회 성적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서남표 KAIST 총장은 "선행학습으로 문제를 하나 더 풀 줄 아는 학생이 20년 후 국가를 이끌 것이라 생각지 않는다"며 "창의성과 잠재능력이 있는 학생을 발굴해 교육하는 것이 우리의 임무"라고 했다.
창의력은 어떻게 개발해야 할까.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하루아침에 길러지지 않는다. 어려서부터 창의력 개발에 좋은 환경을 접하는 것이 첫걸음이다.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선 여러 가지 동기가 필요하다. 크게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로 나눌 수 있는데 외적 동기란 칭찬, 보상 등을 말하며 내적 동기는 호기심과 흥미, 도전정신 등을 말한다. 외적 동기는 내적 동기에 비해 지속성이 떨어지고 성취욕구가 약하다. 스스로 흥미를 붙이기까지는 외적 동기가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땐 자녀에게 내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내적 동기유발을 위한 창의적 환경 자가진단 v 체크하세요
>> 학부모용
□'하면 안 된다'란 규칙을 만들지 않는다.
□아이의 질문에 언제든 답을 해준다.
□아이가 하는 일에 되도록 참견하지 않는다.
□집에 항상 새로운 일이 생길 수 있도록 노력하는 편이다.
□아이의 친구 중에 말썽꾸러기가 있어 걱정이다.
□아이에게 뭔가를 시킨 후 독촉하지 않는다.
□아이가 잘못하면 벌을 주기 전 이유를 묻는다.
□되도록 같은 말을 여러 번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아이가 어떤 상황이든 즐기도록 유도한다.
□아이가 새로운 것을 자주 접할 수 있게 해준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독립적으로 일하도록 격려한다.
>> 학생용
□내가 질문한 것을 무시당하지 않는다.
□부모님은 내 생각을 자주 묻는다.
□문제를 해결할 때 스스로 결정하게 해준다.
□부모님은 무슨 일이든 즐겁게 하신다.
□부모님은 내게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부모님은 내가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내도록 격려해준다.
□부모님은 내가 질문하는 것을 좋아한다.
□우리 집은 항상 웃음이 넘친다.
□내가 느끼는 대로 말씀드릴 수 있다.
□부모님은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궁금해한다.
□부모님은 항상 새로운 것을 시도한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진단
●10개 이상 : 아이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좋아요
●6~9개 : 나쁘진 않지만 평범해요
●5개 이하 : 자녀에게 창의성을 기대하지 마세요
자료출처=테레사 애머빌(Teresa Amabile) 'Growing up creative'
이경석 기자
'아이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중 과일 골라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09.03.24 |
---|---|
임신부가 경계해야 할 3가지 맛 (0) | 2009.03.24 |
베테랑 엄마도 깜박 속는 정크 푸드 (0) | 2009.03.09 |
우리 아기 TV 보여줄까 말까 (0) | 2009.03.04 |
엄마의 그릇을 키우는 행동 레시피 (0) | 200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