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말 안 듣고 이상 행동을 보이는 아이. “누구를 닮아 저러지?’라며 탓할 게 아니라 부모 자신부터 돌아봐야 한다. 문제아 뒤에는 그에 버금가는 문제 부모가 있기 때문이다. | |||||||
◎ 문제아 만드는 대표적인 부모 유형 내 뱃속에서 나온 아이지만 도저히 이해하기도 힘들고, 통제하지 못할 때가 있다며 토로하는 부모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아이가 어느 날부터 반항하고 폭력을 휘두르며 말을 듣지 않는 등 문제 행동을 보인다면 ‘도대체, 왜?’라는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아이들은 생후 18개월이 지나면 자아가 발달하기 시작하고, 만 2세 이후에는 ‘나와 엄마’에 머물던 관계가 제3자로 확장되면서 여러 유형의 문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물론 이러한 행동은 발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부모도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면 문제 행동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귀여운 반항아와 진짜 문제아를 결정짓는 존재가 바로 부모라는 점이다. 부모가 아이를 돌보면서 무심코 보이는 행동이 아이를 ‘문제아’로 만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이에게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소아정신과나 아동상담센터를 찾는 부모들을 보면 공통점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소견이다. 부모의 잘못된 판단이나 행동이 아이를 문제아로 만들기 때문에 1차적인 원인은 바로 부모에게 있는 셈이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나는 아이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 |||||||
| |||||||
◎ 아이들 이상 행동 원인과 부모의 해결책 | |||||||
![]() | |||||||
| |||||||
| |||||||
| |||||||
| |||||||
◎ 문제 부모 지금 당장 실천해야 할 것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바꾸려면 부모가 일관된 교육 방식을 유지해야 한다. 엄마의 기분이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면 아이의 문제 행동은 오히려 더 심해진다. 강압적으로 대처하면 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면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키포인트. | |||||||
| |||||||
출처 : 베스트베이비(http://www.ibestbaby.co.kr) 진행|김민선 기자 사진|이성우 도움말|손석한(연세소아정신과 원장), 김민정(이보연 아동가족 상담센터) |
'아이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치아 지키는 생활법 (0) | 2008.05.07 |
---|---|
소아 비만 막으려면 어떤 음식을 먹여야 할까? (0) | 2008.05.07 |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다중지능 프로젝트 (0) | 2008.05.07 |
아가들의 옹알이 월령별 자극법 (0) | 2008.05.07 |
한글,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0) | 200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