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해지자

막히고 좁아진 혈관 '뻥~' 스텐트시술 부작용은 '뚝'

추억66 2009. 4. 2. 09:40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冠狀動脈)이 좁아지거나 혈전으로 막혔을 때는 협심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이 생긴다. 혈관 내 지방성 물질(plaque)이 쌓여 동맥이 좁아진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병의 주 원인으로 전체 심장병의 48%(2006년 기준)나 된다. 미국에서는 환자가 1,300만명일 정도고 우리나라도 꾸준히 늘고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물로 치료한다. 그러나 약물로 해결할 수 없는 수준이면 스텐트 시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우회로를 만들어 혈액공급을 원활히 하는 수술)을 한다. 스텐트 시술은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 혈관 내부에 스텐트를 넣는 것이다. 수술 자국이 남지 않고 시술이 비교적 간단해 환자들이 선호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2007년)에 따르면, 스텐트 시술이 수술건수와 인원 기준으로 9위를 차지할 정도다. 다만, 스텐트 안쪽이 다시 좁아져 병이 재발할 수 있다.

스텐트는 1977년 개발된 이래 눈부시게 발전을 거듭했다. 처음으로 개발된 스텐트는 환자 다리의 동맥을 약간 절개한 뒤 가느다란 와이어를 삽입해 혈관을 따라 막힌 부위를 뚫어주는 풍선확장술(balloon angioplasty)이었다. 막힌 혈관을 뚫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었지만 시술 받은 환자의 30~40%에게서 재협착이 생겼다.

그래서 1994년 작은 금속망 튜브로 막힌 혈관을 떠받쳐주는 지지대 구실을 하는 순수 금속 스텐트(bare metal stent)가 도입돼 1990년대 후반까지 80% 이상이 쓰였다. 하지만 스텐트 시술 직후 혈전이 생기는 또 다른 부작용이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는 다양한 약물을 금속 스텐트(drug-eluting stent)에 코팅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2003년 약물 방출 스텐트가 미국에서 선보였다.

재발 억제 약물을 금속 스텐트 표면에 바른 뒤 코팅한 것으로, 스텐트를 혈관에 넣으면 약물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시술 후 수개월이 지나도 세포 증식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막는다.

약물 방출 스텐트는 임상시험을 마치고 2003년 임상에 본격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시술 후 재발률이 10% 미만으로 크게 줄었다. 최근에는 스텐트 시술의 적용 범위가 크게 늘어나 작은 혈관이나 긴 병변, 분지 병변 등 복잡한 병변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장기 임상 결과도 좋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쓰이는 약물 방출 스텐트로 한국애보트의 '자이언스V'와 보스턴 사이언티픽의 '텍서스', 존슨앤존슨메디컬의 '사이퍼', 메드트로닉의 '엔데버' 등이다.

텍서스는 좌주간동맥 병변, 다혈관 병변 환자에게 시술해도 관상동맥우회수술처럼 안전하다는 임상결과가 있다. 사이퍼는 1년여 동안 400명의 당뇨병을 앓는 관상동맥 환자를 대상으로 사이퍼와 텍서스 스텐트를 각 200명씩 비교 임상한 결과, 사이퍼가 텍서스보다 당뇨병 환자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엔데버는 새로운 약물 방출 스텐트로 지난 해 복합 심장혈관 질환, 즉 당뇨병과 소 혈관, 긴 병변 등을 겪는 관상동맥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한 결과, 심장 관련 부작용 발생률이 7.5%로 비교적 낮았다.

지난 해 국내 출시된 자이언스V는 전세계 1,3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SPRIT 임상시험에서 심장혈관 병변을 대부분 치료하는 차세대 약물 방출 스텐트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다.

자이언스V와 텍서스와 같은 제1세대 약물 방출 스텐트와의 비교 임상 결과, 복합적인 심장혈관 병변에도 우수한 유효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제시했다.

한편,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가 생분해돼 인체에 흡수되는 새로운 스텐트에 대한 연구가 애보트 등에서 진행 중이다. 체 내에 흡수된 뒤에도 부작용이 별로 없어 환자의 관상동맥 기능을 최소 2년간 유지해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고, 2012년쯤 시판될 것으로 보인다.

권대익 기자 dkwon@hk.co.kr

일러스트=김경진기자 jinjin@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