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글루코사민과 녹색입홍합은 모두 관절 건강과 관련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녹색입 홍합은
썰물로 인해 밖으로 드러난 바닷가의 바위 위를 살펴보면 소라나 고둥을 비롯하여 온갖 해물들이 쭈르르 붙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홍합의 서식 형태도 이와 같은데 얕은 바다의 암초나 암벽 등에 무리를 지어 강한 다리로 고착하여 살아간다. 주로 서대서양 연안이나 홍콩, 한국, 일본 남부 등지의 조간대 암벽이나 수심 20미터의 암초에 서식하는 홍합은 수명이 2년 정도이며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유기세편을 먹고 산다. 주로 3~6월에 산란하는데 약 5백만~2천만 개의 알을 낳는다. 담치류 중에서 ‘참담치’로 분류되는 홍합은 길이가 약 15센티미터 정도이고 패각이 두꺼우며 약간 부풀어 있는데 끝은 뾰족하고 매부리코 모양으로 굽어 있다. 대체로 껍데기 표면은 다소의 광택을 가진 갈색 또는 흑색이고 내면은 푸른색을 띠는 백색으로 진주 광택을 낸다. 그러나 뉴질랜드 녹색입 홍합은 껍질 안쪽의 색깔이 녹황색이다.
홍합 속에 함유된 영양 성분을 살펴보면 크게 83퍼센트의 수분과 9.7퍼센트의 단백질, 1.2퍼센트의 지방, 그리고 4퍼센트의 탄수화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지방산과 비타민 및 무기질이다. 동맥경화를 방지하고 지능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EPA와 DHA가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및 타우린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서 시력을 향상시켜 주고 피로회복은 물론 노화방지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 준다. 또한 비타민 A와 비타민 B2가 함유되어 있어 건성이거나 태어날 때부터 거칠거칠한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데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요즈음 홍합에 포함된 니아신의 항암 작용에 관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데 실제로 암세포를 이식한 흰 쥐에게 홍합의 당단백을 주사한 결과 암세포 억제율이 53.1퍼센트나 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 밖에도 허리와 다리에 힘이 빠졌을 때, 설사나 경기가 잦은 아이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강장제로 이용할 수 있다.
녹색입 홍합의 성분과 영양학적 고찰
1. 녹색입 홍합의 추출물은 모유나 달걀처럼 몇 안 되는 가장 완전한 식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녹색입 홍합 추출물에는 고품질의 단백질, 저지방, 강한 호소 활성능력, 많은 양의 뮤코다당체, 다양한 비타민 군, 필수 무기물, 핵산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영양학적으로 균형된 단백질 공급으로 모든 필수 아니노산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4. 지방은 3%미만으로 필요한 필수 지방산과 Phosphoglyceride를 공급하고 5. 특히 풍부한 항산화 효소(SOD)는 자유기 및 다른 산화 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6. 풍부한 양의 뮤코다당체(Glycosaminoglycans)[녹색 홍합 농축액의 약20%정도(건조상태 기준)]는 단백질과 연대하여 인체에 수많은 세포를 붙잡아주고 결합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7. 또한 비타민 A, E뿐만 아니라 B, 그리고 핵산(DNA, RNA)의 공급원이 되기도 하며 8. 그외, 홍합이 자라면서 해수에서 섭취하는 다양한 무기질로 인해 미세 소요 무기질이지만 인체에 꼭 필요한 킬레이트 아연, 마그네슘, 크로니움, 셀레늄, 설퍼, 철, 포타슘, 망간니즈 등의 공급원이 되기도 합니다.
뉴질랜드 녹색입 홍합 관련 기사 내용
"녹색입 홍합은 프랑크톤을 먹고 자라는데 강렬한 자외선에 대항하도록 진화된 프랑크톤을 먹고 자라는 홍합은 강렬한 항산화 작용과 항염 작용이 있어 이를 섭생한 마오리족은 관절 질환이 적게 발생했다는 것이다." - 조선일보 2002년 3월 7일자 보도내용 -
"뉴질랜드 해안에 사는 마오리족은 관절염 환자가 드문데 이들이 즐겨먹는 녹색입 홍합속에 든 항염증 물질이 인체내에서 염증을 촉진하는 물질인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 동아일보 2001년 9월 12일자 보도내용 -
"외국의 여러 임상 실험에서 관절염 환자의 통증, 부종 등의 증상을 탁월하게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일반적인 항염증제의 부작용인 위장 장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관지 천식, 염증성 질환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적인 생산물 책임 보험(1천 5백만 달러 상당)에 가입돼 있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 경향신문 2001년 8월 8일자 보도내용 -
"과학자들은 녹색입 홍합이 인체내에서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류코트리엔(LTB4)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에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2001년 7월 30일자 보도내용 –
녹색입 홍합의 관절염 치료효과=연세중앙내과의원 조세행 원장은 "뉴질랜드 마오리족의 관절염 발생률이 낮은 이유는 녹색입 홍합을 즐겨 먹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여기엔 EPA.DHA 등 오메가-3 지방이 풍부한데 이 지방이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것. 조원장팀은 2001년부터 서울대병원 등 8개 병원을 찾은 54명의 무릎관절과 엉덩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추출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했다. 환자들에게 8주간 투여한 결과 80% 이상이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코사민이란 ?
Glucosamine은 골관절염이나 상해로부터의 손상을 보수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관절에 제공한다. 특 히 글루코사민은 연골에서 발견되는 glycosaminoglycan이라 불리는 mucopolysaccharide를 만드는 물질이며, 그 외 소화기, 순환기 내의 기초점막, 관절부위의 활액, 인대, 건을 포함한 신제조직의 대부분 을 이루는 물질이다. 또한 Glucosamine은 상처치유의 역할을 한다.
글루코사민의 형태 - Glucosamine Sulfate(글루코사민 황산염) Sodium Chloride(NaCl), Potassium Chloride(KCl)등 1∼2개의 미네랄염과 함께
안정화된다. - 기타 글루코사민 염산염, N-acetyl glucosamine(NAG) - 글루코사민 황산염의 형태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글루코사민 황산염의 황성분이 관절 조직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연골과 건, 인대의 연결조직상의 정화기능을 하기 때문 - 관절의 연골은 collagen과 proteoglycan으로 구성된 특수한 연결조직이다. · collagen : strong, fibrous, insoluble protein으로 구성 · Proteoglycan : 95%의 Polysaccharides .5%의 glycosaminoglycan(GAGs) :glucosaminesulfate 와 기타 aminoacidsugar를 포함한 disaccharides구성되어
있다.
글루코사민의 효능 ▶ 골관절염 - 나이와 들면서 자연스럽게 연골이 파괴되고 연골분비물을 포함한 대사적 변화에 따른 것으로 효소활성 저하, collagen, proteoglycan이 파괴되고, hyaluronic acid가 고갈된다. -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의 85%가 55세에서 75세의 연령이며, 젊은 사람의 경우에는 스포츠 등으로 인한 외상으로 인한다.
- 여성이 남성보다 많으며 여성의 경우 손과 무릎, 남성의 경우 엉덩이의 비율이 크다.
▶ Glucosamine Sulfate를 보충제로 섭취했을 때 혈액과 관절에 쉽게 흡수되고 GAGa의 생성을 자극 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활동성을 향상시킨다. - 단백질 생합성을 촉진하여 연골 매트릭스의 형성을 자극한다. - 관절 내 윤활제인 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자극한다. - 관절조직에 선별적으로 작용하여 관절손상을 보호한다. - 연골 등 관절조직에 침투하여 콘드로이틴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 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여 항염증작용을 한다. - 보충제로 섭취 시 혈액과 관절에 쉽게 흡수되어 항염증, 진통작용을 하며 관절의
활동성을 향상
hyaluronic acid란? 관절연골을 부드럽게 해주는 활액으로 다른 proteoglycans의 중추로, 관절윤활제, 충격흡수성분으로 관절연골을 위한 영양소인 synovial fluid의 점성을 높여준다.
글루코사민의 사용 일차적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장결석, 사고 등으로 인한 관절계통의 상처치유
글루코사민의 복용량 글루코사민 결핍증은 보고된 적이 없으며,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일상적인 섭취까지는 필요하지는 않다. 골관절염 환자의 대부분 연구에서 1일 500mg씩 3회 복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Glucosamine의 side effect(부작용), interaction(상호작용) 1일 500mg씩 3회 복용시 독성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고혈압 환자에게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지나 친 투여는 hyaluronic acid(연골활액)의 비정상적인 고갈을 초래하며, 손상보수, 장기적 효능, 재생면 에서 역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을 함께 복용하면 - 관절연골의 생성기능이 강화되고 빨라진다. - 활액이 연골 내로 흡수되어 충격완화 기능이 강화된다. - 관절연골을 파괴하는 효소반응을 억제한다. - 관절의 통증이 완화되고 활동성이 향상된다. - 콘드로이틴은 관절 외에도 동맥경화, 콜레스테롤 조절, 신장결석 예방 등의 기능을 보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