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influenza)는 기도(氣道)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급성 바이러스 감염으로, 한국어로는 통상 독감이라고 하며, 영어에서도 간단히 flu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플루엔자의 증상으로 기도·머리·배에 통증을 느끼고 열이 나고 추우며, 피로감과 근육통이 나타납니다. 인플루엔자의 원인이 되는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A/B/C형으로 분류되는 여러 믹소바이러스(myxovirus) 종(種)이 있습니다. 통상 A형 바이러스가 가장 흔히 병을 일으키는데,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성에 있어서는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한 종류에 감염되어도 다른 종류에 대한 면역이 생기지 않습니다.
인플루엔자는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나지만 소아기나 청년기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대개 추운 계절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이 병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감염된 작은 물방울을 들이마심으로써 사람에서 사람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잠복기는 1~2일이고 이후 오한·피로·근육통 등의 증세가 갑자기 시작되며 체온이 38~40℃로 급격히 상승, 두통과 온몸의 심한 근육통이 생기고, 흔히 목부위가 자극에 대해 과민해지거나 따끔거리는 증상이 함께 생기고, 3~4일 후에 체온이 떨어지면서 환자는 회복되기 시작합니다. 사망률은 발병 양상에 따라 많이 다르지만 낮은 편이며, 사망하는 경우는 대부분 폐렴이나 기관지염 같은 합병증이 원인으로 다른 질병으로 인해 쇠약해진 노인들에게서 일어납니다.
항바이러스제인 아만타딘(amantadine)은 A형 바이러스로 인한 인플루엔자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이외에 누워서 쉬고, 아스피린이나 기타 진통제를 사용하여 해열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법입다.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백신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백신에 사용하는 바이러스는 병아리의 배(胚)를 이용해서 만든 것으로서 감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조되는데, 미국에서 흔히 상업용으로 만들어지는 백신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A형의 몇 가지 아종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1회 접종에 1년 이상의 예방효과는 거의 없으므므로 인플루엔자에 걸리기 쉽거나 감염되었을 경우 심한 합병증이 유도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매년 예방주사 접종이 권장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장한 일반인들은 합병증에 의한 사망으로 이어질 때까지 인플루엔자 발병이 악화될 가능성이 별로 없고, 예방접종 자체가 아종 바이러스까지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닌만큼 너도나도 주사 맞으려 병원에 줄 설 필요성은 전혀 없으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해서는 본인의 판단이 아니라 전문의가 주사를 맞을 필요가 있는 사람인지 없는 사람인지 판단하여 그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다고 하겠습니다. 실제로 의사는 접종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했는데도 의사를 협박하다시피하여 기어코 접종을 받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는데, 무지의 소산이라고밖에는 할 말이 없는 경우였습니다.
'건강해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가 꼭 먹어야 할 음식 (0) | 2007.02.21 |
---|---|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흔한 질의응답 (0) | 2007.02.12 |
어께,목 피로풀기 (0) | 2007.01.29 |
복부지방을 태우는 요가 (0) | 2007.01.29 |
장에 좋은 음식 15가지 (0)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