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해지자

골다공증 치료 잘못되고 있다ㅡ

추억66 2008. 5. 6. 15:55

골다공증 치료 잘못되고 있다ㅡ

2008년도 최신 치료 지침

 

 

 골다공증 약물 요법이 골절 예방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골밀도(BMD)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골절 확률이 더 높을 수 있다

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약물요법은 골절을 예방해 주지 못한다

이는 미국 9개 학회 협동으로 미국 정부 골다공증 재단이

2008년도 골다공증 치료 지침을 통해 발표한 내용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사회지(JAMA Mar 26) 영국의사회지(BMJ Mar 27)를 통해서는

골다공증 예방이라는 용어 자체를  골절 예방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골다공증 예방 치료의  기준이 잘못 되었다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의 목적은 오로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예방 치료법은 골절 예방에 실패한 것이다

   

골다공증의 정의 자체가 골밀도  -2.5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약물 요법으로 골밀도를 -2.5 이상으로 올려 주기만하면

골다공증이 아닌 상태로 개선되므로 치료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해 온 것이다

그러나 골밀도가 높은 사람들도 낮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골절을 많이 일으키거나 오히려 골절을 더 일으키기도 한다

골밀도 보다 더 중요한 골절 유발 요인들 매우 많기 때문이다(후술) 

골절을 유발하는 병도 매우 많기 때문이다 (후술)

  

골절의 원흉

 

 골절은 골밀도가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넘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발을 헛디디거나 미끄러져 엉덩 방아를 찧거나 부딪힐 때 뼈가 부서진다

 이는 근육이 약하기 때문이며 균형감각과 동작 신경이 둔하기 때문이다

 

골다공증(Osteoporosis)유발 요인들

 생활 습관 (Lifestyle factors)

 

-칼슘 섭취 부족 

-Vitamin D 부족 

-Vitamin A 과잉 

-커피 과음

-짜게 섭취 

-제산제(Aluminum 함유) (in antacids) 

-과음 (하루 3잔 이상) 

-운동 부족

-담배

-간접 흡연

-낙상

-여윔

 

 

 

유전적 요인

      -Cystic fibrosis  

-혈중 Homocystin 과잉증  

-골재상 부전증 (Osteogenesis imperfecta) 

-Ehlers-Danlos  

-과인산혈증(Hypophosphatasia) 

-Porphyria

-Glycogen 저장 장애

-칼슘 과잉 배설증 (Idiopathic hypercalciuria) 

-Riley-Day syndrome

-Gaucher’s disease

-Marfan syndrome

-Hemochromatosis

-Menkes steely hair syndrome

 

 

남성 호르몬성 요인 (Hypogonadal states)

 

-남성 호르몬 내성(Androgen insensitivity) 

-Prolacitn 과잉증 (Hyperprolactinemia) 

-운동선수 무월경(Athletic amenorrhea) 

-식욕 상실 (Anorexia nervosa)

-과식증(bulemia) 

-뇌하수체 이상(Panhypopituitarism)  

-난소 부전 (Premature ovarian failure)

-Turner’s & Klinefelter’s syndromes

 

내분비 이상 Endocrine disorders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부갑상선 과잉증 (Hyperparathyroidism) 

-갑상선 중독증 (Thyrotoxicosis) 

-부신 기능 부전 증 (Adrenal insufficiency

-당뇨병 (Diabetes mellitus)

 

 

 위장 기능 장애

 

-위장계 수술 

-흡수 불량증 (Malabsorption)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Primary biliary cirrhosis)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소화불량증(Celiac disease)

-췌장 질환 (Pancreatic disease) 

-위경로 수술 (Gastric bypass)

 

 

 혈액 관련 질환

 

 -혈루증 (Hemophilia)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Systemic mastectomies

-백혈병 임파종 (Leukemia and lymphomas)

-Sickle cell disease

-Thalassemia

 

 

 

  자가 면역 질환

 

-척추 만곡증 (Ankylosing spondylitis) 

-Lupus  

-류마치스 관절염

 

 

 

 

 

  

기타 질환들 Miscellaneous diseases

  

-Alcoholism

-폐기종 (Emphysema)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Amyloidosis

-신부전 말기

-근육 쇠퇴증 (Muscular dystrophy)

-만성 대사성 산혈증 (Chronic metabolic acidosis)

-간질 Epilepsy

-장기 이식 후 골 이상 (Post-transplant bone disease)

-심부전 

-Idiopathic scoliosis

-Sarcoidosis

-우울증

-성인전 골절 경험

 

 

 

  약물로 인한 요인

   

     -항응고제 (Heparin)

     -Barbiturates

-영양 수액제 (Parenteral nutrition) 

-항경련제 (Anticonvulsants)

-전립선 암 치료제 (Aromatase inhibitors)

-정신병약 (Lithium ≥5 mg/d)

-Prednisone 3개월 이상

-면역 억제제 Cyclosporine A

-면역 억제제 Tacrolimus

-Depo-medroxyprogesterone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s

-항암 화학요법제 Cancer chemotherapeutic drugs

 

\

 

  낙상 환경 요인

  

-주위 전기불이 흐릴 때 

-통로에 장애물이 있을 때

-화장실 및 목욕탕에 손잡이가 없을 때

-길이 미끄러울 때

 

 

 

 낙상 요인이 되는 질병 및 환자 상태 (Medical risk factors)

 

-나이  

-부정맥 Arrhythmias 

-여성  

-시력 저하 상태 및 안경 착용자

-요실금 (Urgent urinary incontinence)

-낙상 경력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

-동작 장애자

-약물 투약 중인 사람

--마약성 진통제

--항경련제 (anticonvulsants)

--진정 작용이 강한 정신병 약

 

-우울증

-기억력 및 인지력 장애자

-불안증 및 동요 상태

-Vitamin D 부족 (혈중 25-OH vitamin D  < 30 ng/ml 이하)

-영양 실조

-낙상에 대한 불안 공포증 

 

 

 

 낙상 요인이 되는 근육 신경 장애

-균형 감감 장애

-근육 허약증 (weak muscles)

-척추 후만증 (Kyphosis)

-자기 수용감 감소 (Reduced proprioception)

   

골절 발생 확률 계산표 (WHO)

 

 어떤 병태를 지니고 있느냐

어떤 약을 투약 받고 있는냐

어떤 환경에 있느냐

특히 낙상 경험이 몇번이냐 등에 따라

골밀도와는 무관하게  골절을 유발하는 확률은 매우 달라진다

 

  

WHO 는 10년 이내의 골절 확률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Table.  10 년 내 골절 확률 (%): 영국 65 세 여인의 대퇴골 골밀도 기준.

위험

인자

숫자

골 밀도 BMD T-score (대퇴골 경부 femoral neck)

-4.0

-3.0

-2.0

-1.0

0

1.0

0

27

15

9.7

7.1

5.9

5.0

1

37 (33-41)

22 (18-26)

14 (10-18)

10 (7.1-14)

8.5 (5.7-12)

7.3 (4.8-10)

2

49 (42-58)

30 (23-40)

20 (13-29)

15 (8.6-23)

12 (6.8-19)

10 (5.6-17)

3

62 (53-72)

41 (30-55)

27 (17-42)

20 (11-34)

17 (8.7-29)

15 (7.2-26)

4

73 (63-81)

52 (42-65)

36 (26-51)

27 (18-41)

23 (14-36)

20 (11-32)

5

83 (79-87)

64 (58-72)

47 (40-57)

36 (28-47)

31 (22-41)

27 (19-36)

6

89

75

58

46

40

35

  

 

골밀도가  -2 인 65세의 여인은 골절 위험 인자가 전혀 없는 경우에는 골절 확률이 9.7%이다

그러나 위험인자를 3개 지니게 되면 골절 확률은 27%이다

이는 골 밀도가 1인 자가 위험인자 5개를 지닌 경우와 동일하며

골밀도가 -4인자가 골절 위험인자를 전혀 지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다

골다공증 약 처방시의 진단과 권장 

 

1) 골밀도 측정은 매우 많은 요인중 단 한 개만의 요인이다

 

골다공증 약 처방 시는 골다공증 유발요인과

낙상 가능성 요인과낙상 가능성 환경적 요인 등을 두루 검토하여 해한다

  

2) 약물 요법 처방은 아래와 같이 한다

1) 칼슘 ----1 1,200mg

2) 비타민 D---800-1,000 IU (D3)

 

3) 규칙적 팔다리 걷기 운동을 권장

 

4) 담배 중단 음주 피하게 한다

 

5) 여인 갱년기 이후 및 남자 70세이상은 골밀도 측정하여 참조

 

6) 아래는 치료 요법을 실시한다

 

(1) 골밀도 -2.5 이하인 사람으로서 히프 및 척추 골절 경험자

(2) 남녀 50세 이상으로서

대퇴골 히프 척추의 골질도가 -1부터 -2.5 사이 (골연화증)

Who 10년 골절 확률 20% 이상인자

 

(3) 치료 처방은 아래 약물을 사용한다

 

--Bisphosphonate

 

--Estrogen

 

--Raloxifene

 

--부갑상선 호르몬

 

(4) 2년 마다 골밀도를 측정한다 

   

[근거],

2008.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1232 22nd Street NW, Washington, D.C. 20037-1292

Developed by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NOF) in collaboration with: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AAC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ACR);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merican Orthopedic Association;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AOA)

The Endocrine Society;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BMJ 2008; 336:124-126 (19 January), doi:10.1136/bmj.39428.470752.AD

Analysis; shifting the focus in fracture prevention from osteoporosis to falls

Epos L N   et al 1 Division of Orthopedics and Grammatology,

Department of Trauma, Musculoskeletal Surgery and Rehabilitation,

Tampered University Hospital, 33 520 Tampered, Finland,

JAMA March 26, 2008; 299 (12): 1468 Vol. 299 No. 12, 1468-1470.

Osteoporosis and Fractures: Missing the Bridge? Angela M. Cheung, MD, PhD;

 

 

출처  : 온누리 산소약국